Foreign Language

영어와 한국어로 보는 문화

색다른 하얀이 2023. 4. 6. 16:05

종이에 펜으로 직선을 그어 보세요. 직선에는 시작점과 끝점만 있습니다. 돌아가는 것은 불가능하고 가던 방향으로 계속 가야 직선이 만들어집니다. 이번에는 동그라미를 그려 보세요. 오른쪽 방향으로 가든 왼쪽 방향으로 가든 시작점과 끝점이 하나가 됩니다. 그렇게 완성된 동그라미에는 시작도 끝도 없습니다. 직선과 동그라미는 서양과 동양의 사고방식을 이야기할 때 자주 언급됩니다.

 

직선적 사고관에는 인과 관계를 명확히 분석하고 알 수 있습니다. 인과 관계를 따지다 보면 거기에 따른 원인과 결과, 즉 잘됨과 잘못됨을 알 수 있어요. 그래서 지금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잘잘못의 판단 기준을 인과관계, 즉 논리와 이성으로 삼아요. 인간이 가진 이성이 판단의 가장 큰 중심이 됩니다. 이성과 합리를 바탕으로 노력하면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만들 수 있다는 진보적인 세계관으로 매우 미래 지향적입니다.

 

동양에서는 음과 양의 조화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서양의 직선적 사고관은 끝으로 귀결하기 때문에 이 대칭들은 끊임없이 힘겨루기 하며 갈등합니다. 서양에서 협의와 타협의 기술이 발달한 이유는 이러한 사고방식 때문이기도 하죠.

 

우리는 합리와 이성에 입각한 원인 분석보다는 다각적인 접근을 선호합니다. 이러하기도 하고 저러하기도 하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기보다는 이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생각하고 이해하려 하죠. 이러한 통찰력을 서양에서 새로운 가치로 높이 평가하기 시작했습니다.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닌 다 함께 나누는 공존의 가치 또한 서양의 시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려 합니다.

 

직선적 사고방식에서는 사건의 시작과 끝이 있습니다. 시간은 앞만 보고 달려갑니다. 시간에 의해 모든 것이 변하고 성장하고 퇴보합니다. 따라서 현재를 접근할 때 과거를 돌아보면서 오늘의 결과는 어제에 원인을 두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원형적 사고방식에서는 시간은 돌고 도는 개념이기 때문에 오늘은 수많은 시간들이 결합된 하나의 상태로 봅니다. 불교에서는 이를 연기론이라고 합니다. 이는 불변적.고정적 실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는 공사상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결론이라고 내릴 것이 하나도 없지요. 직선적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과 원형적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은 가치관과 문제 접근과 해결방식이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외국어 저도 잘하고 싶습니다만 중-

 

언어에도 가치관과 사고관이 담겨있다는 얘기가 흥미로웠다. 옳고 틀리다의 관점이 아닌 다름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언어를 배울때에도 좀 더 재밌는 접근이 될 수 있을 것 같았다. 지금까지 영어공부가 어려웠던 것은 한국어와 영어의 구조가 다른점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미 알고 있는 모국어의 문법 구조에 영어를 덧입히는 작업이 쉽지가 않다. 때문에 짧은 문장을 외워서 반복해서 표현함으로 자연스럽게 내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중요하다.

학원이나 학교에서도 직접 표현하는 방식의 수업이 아닌 문제를 푸는 방식이 많기 때문에 내것으로 만들기가 어려웠던 것 같다. 나의 생각을 표현하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영어의 구조를 배우고 문화를 이해하다보면 영어와 친해질 수 있을까? 반복해서 말해보기.

'Foreign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로 혼자 영어 공부하는 법  (0) 2023.04.08
외국어 공부는 이렇게  (0) 2023.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