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 Esteem

자존감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색다른 하얀이 2023. 4. 5. 08:01

  집중 vs 집중하지 않음

  생각 vs 생각하지 않음

  인식 vs 인식하지 않음

  명쾌함 vs 모호함 또는 막연함

  현실 존중 vs 현실 회피

  사실 존중 vs 사실에 무관심함

  진실 존중 vs 진실 거부

  이해하려고 끈기 있게 노력함 vs 이해하려는 노력을 포기함

  자신이 공언한 신념을 충실하게 행동에 옮김 vs 충실하지 않음(자아 통합의 문제)

  자신에게 솔직함 vs 솔직하지 않음

  자기 대면 vs 자기 회피

  새로운 지식 수용 vs 새로운 지식 거부

  실수를 알고 기꺼이 바로잡음 vs 실수를 반복함

  (말과 행동의) 일치에 신경을 씀(일관성) vs 모순을 무시함

  합리 vs 비합리(논리·일치·일관성·근거를 존중함 vs 논리·일치·일관성·근거를 무시하거나 저항함)

  의식을 책임지는 성실성 vs 그러한 책임을 배신함 

 

우리가 지닌 자존감의 욕구는 인간 종에 고유한 두 가지 기본적 사실에서 비롯한 결과이다.

첫째, 인간은 환경을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생존하는 데 의식을 적절히 활용한다. 우리의 삶과 행복은 생각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 둘째, 의식의 올바른 사용은 저절로 이루어지거나 타고나는 것이 아니다. 의식 활동을 조절하는 것은 선택, 즉 개인의 책임감이라는 요소가 결정적이다.

 

인간이란 종은 어떤 것이 추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두고 전망을 세울 수 있고, 그런 다음 그것과 반대되는 것을 추구할 수도 있다. 정해진 행동 방침이 합리적이고 도덕적이며 지혜로운지 판단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의식을 멈추고 다른 일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자신의 행동을 계속 관찰하면서 그것이 자신의 지식과 신념과 이상에 부합하는지 스스로 질문을 던질 수도 있고, 그런 질문을 피할 수도 있다. 생각을 하거나 하지 않는 것은 선택의 문제다.

  의식을 열어 문제에 집중할지, 아니면 의식을 닫아걸고 문제를 회피할지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서 우리의 판단에 관여하는 것이 자유 의지다. 이때 내리는 결정은 우리 삶 전반에, 특히 자존감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 <자존감의 여섯 기둥 >, 너새니얼브랜든 지음, 김세진 옮김 

 

삶의 여러가지 순간에서 의식은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내가 어떠한 결정을 내리느냐에 따라 자존감에 영향을 끼칠 수가 있다. 맞다 틀리다의 경계를 떠나서 의식을 열고 닫음으로 해서 자유의지를 사용하게 된다. 그것은 개인의 선택에 의한 책임감이라는 요소가 결정적인데 생각하는 능력에 따라 행복이 따라올 수 있다.